지난 6개월 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부동산 거래액은835억달러로 2020년 같은 기간보다 39% 증가했다.
JLL의 아시아태평양메이저사이트보고서는 상반기 부동산 거래액상승과 더불어 이 지역의 부동산 거래 건수도 상승세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특히 물류·산업 분야 메이저사이트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0년에 비해 오피스·소매 시장도 강한 회복세를 기록했다. 다만 올해 메이저사이트규모는 아직 코비드-19 대유행 발생 전 기간(2019년 같은 기간 대비 6% 감소)보다 낮다.
일본 내 메이저사이트는 코비드-19 대란으로 약세를 보였지만 전체 메이저사이트 물량의 69%를 차지하는 시장은 중국, 호주, 한국이었다. 본 사업부의 평가에 따르면, 각 부문별로 사무부문 메이저사이트비중은 31%로 물류산업과 소매부문도 30%를 차지했다.
물류 및 산업 메이저사이트는 전자상거래의 성장, 수익률 차이 및 자산 다변화의 필요성에 힘입어 전년대비 215% 증가한 150억달러로 메이저사이트자들의 보다 유연한 부동산 카테고리를 타깃으로 삼았다. 2021년 첫 달에는 많은 주요 거래가 이뤄졌다.
주목할 점은 호주 블랙스톤의 마일스톤 포트폴리오에 45개의 창고와 관련 물류 자산이 포함된 부동산 물류 기업 ESR의 인수로 이 지역의 고품질 산업·물류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2분기 동안 오피스 메이저사이트수요가 개선돼 155억 달러를 받았다. 2019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순 점유율호조를 보인 호주 중앙 오피스 시장에 메이저사이트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동산 이전과 임대차 환급이 일반적이어서 2015~2020년 평균 7%에서 2021년 상반기 10%를 넘어섰다. 이 트렌드는 아시아에서 꽃을 피우고 있다.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재정 균형을 위해 자산을 재전략화해야 했다. 마찬가지로, 호주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재정을 보강하고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부동산의 매각 및 임대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헐릭(Hulic)이 최대 30억 달러에 인수 중인 덴쓰의 도쿄 본사와 20년 임대 기간으로 채터홀에 3억7400만달러에 매각 중인 시드니 데이비드 존스 플래그십 스토어 등이 판매 및 리스백(매각차용:부동산을 매각한 뒤 새 주인에게 임대료를 내고 계속 사용하기로 하는 것)이 눈에 띈다.
스튜어트 크로우 JLL 아시아 퍼시픽 캐피탈 마켓즈 이사는 메이저사이트자들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자산 채널로의 자본 유입을 늘리기 시작하면서 시장 상황이 다시 밝아졌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에는 메이저사이트자들이 부동산을 매입, 매도, 전대할 기회를 끊임없이 찾고 있으며 물류와 산업 부동산, 생명과학, 다세대 주택 분야의 다양한 부동산에 관심이 많아질 것이라고 한다.
JLL은 향후 5년 동안을 내다보면 2025년까지 물류 및 산업에 대한 메이저사이트 규모가 두 배인 500억~600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유연한 자산 등급에 대한 메이저사이트 욕구와 판매 및 리스백의 성장으로 2021년 전체 메이저사이트 규모가 15~20%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