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말 롱안의 최고 땅값은 제곱미터당 5270만동(281만9450원)에 달해 빈증과 동나이 메이저사이트 경쟁자들을 능가했다.
2021년 DKRA 베트남 남부 토지시장을 요약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동안 호찌민시와 인근 지방의 토지 필지 부문은 약 6220개의 제품이 공급돼 46개 프로젝트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롱안과 동나이는 전체 신규공급의 약 68%를 차지하며 시장공급을 주도하는 두 성으로, 이 중 롱안의 토지공시지가가 다른 여러 성보다 높은 새로운 가격수준을 세웠다.
2021년 4분기 기준 메이저사이트의 토지 평균 최고 호가는 제곱미터당 5270만동, 동나이는 제곱미터당 4500만동(240만7500원), 따이닌과 빈증은 제곱미터당 1500만~2500만동(133만7500원)이었다. 이번 조사는 단지 남부지방의 신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지난해 호찌민시 및 주변 메이저사이트 토지 소비량은 약 4697필지로 신규 공급의 76%에 해당한다. 다만 호찌민시만 해도 신규 분양사업이 2건에 불과해 2020년 대비 17%에 해당하는 98여종의 상품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소비율이 약 52%(51개 제품 상당)로 전년 대비 15%에 해당한다.
호찌민시의 토지 계획은 주로 빈짠, 꾸찌, 야베와 같은 교외 메이저사이트에 집중되어 있는 소규모이다. 호찌민시의 토지 구획은 주로 옛 프로젝트에 기록되어 있다. 2021년 말까지 시내 토지공시지가는 제곱미터당 9700만동(518만9500원)으로 최고 수준, 제곱미터당 4800만동(256만8천원)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호찌민시의 토지 공급은 갈수록 부족한 반면 메이저사이트, 동나이, 빈증, 바리아-붕따우 등 인근 성의 시장이 주요 공급원이 되어 토지 시장의 중심이되었다.
DKRA에 따르면 2021년 네 번째 코비드-19 전염병의 영향으로 2차 시장(구매 및 재판매)에서 남부 지방의 토지 유동성은 평균에 불과하다. 사회적 봉쇄 기간에는 물가가 국지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내부 유틸리티 계획, 주변 메이저사이트과의 편리한 위치 및 명확한 법률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소규모 프로젝트보다 분명히 거래 성공률이 높다.
-GMK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