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N다이렉트는 역내 국가들 간 FDI 유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지만 현재 메이저사이트은반도체와 전기차 업체가없다는 것은 FDI 경쟁에뒤처지고 있다고 본다.
브이엔디렉트증권은 2023년 투자전략 보고서에서 메이저사이트이 여전히 외국인 투자흐름에 매력적인 곳인지를 언급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메이저사이트이 경쟁력 있는 인건비, 유리한 지리적 입지(중국 남부 생산 중심지 인근), 정치적 안정성 덕분에 '중국+1' 다변화 전략을 가진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여행지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 외에도 메이저사이트은 CPTPP, EVFTA, RCEP 등 세계 주요 파트너 및 지역과 많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세계의 많은 대형 기술 기업들은 가까운 미래에 메이저사이트에 투자하거나 생산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생산 라인, 구글의 픽셀7 전화 생산 라인, 샤오미, 오포 등도 메이저사이트에 생산시설을 설립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VN다이렉트에 따르면 2023년 메이저사이트의 등록 FDI는 10~12%, 지출 FDI는 6~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VN다이렉트는 역내 국가들의 FDI 유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메이저사이트이 반도체와 전기차 업계에 없을 때는 뒤처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2020년, 인도네시아는 옴니버스 법을 제정하여 자국에서 운영하거나 투자하는 외국 기업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로의 FDI 유입은 2021년 10%, 2022년 9개월간 310억 달러로 46% 급증했다.
2021년에는 메이저사이트과 인도네시아가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는 두 나라다. 메이저사이트이 전자제품 제조업 중심지로 발돋움하려는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공급망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2022년 말레이시아는 320억 달러(동기 대비 약 3배)로 FDI가 급증하면서 인도네시아(310억 달러)와 메이저사이트(160억 달러)을 2, 3위로 밀어냈다.
분석가들은 전기차와 반도체 산업이 아세안으로의 FDI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 두 산업의 주요 변화는 새로운 유형의 투자의 출현, 가치 사슬의 새로운 부문의 추가, 용량 확장 및 지역의 유통 네트워크 강화를 포함한다.
이 지역 국가들은 향후 두 산업의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 생산 체인에서 FDI를 유치하기 위해 많은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함과 동시에 사람들의 전기 자동차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다만 메이저사이트은 뚜렷한 유치 정책이 없어 다른 나라에 비해 속도가 느린 것으로 보여 향후 메이저사이트의 FDI 유치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VN다이렉트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