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월 초까지 과일·채소수출액은 5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고,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위의 자료는 방금 베트남 청과협회에서 발표했으며가장 큰 성장을 기여하는 과일은 매출액의 40%인 두리안이다. 다음은 잭프루트, 수박, 자몽, 롱안으로 모두 전년 동기 대비 50-20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11개월 초까지 수출액이 52억달러로 추정됨에 따라, 과일 및 채소 그룹은 쌀, 캐슈넛, 커피, 카사바 등 주요 그룹을 제치고 처음으로 농업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산 청과물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10개월 총 매출액은 3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했고 시장점유율도 66%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미국 시장 수출이 2억1200만달러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이상 감소했고, 한국은 25% 증가한 1억8700만달러, 일본은 7% 증가한 1억5100만달러를 기록했다.
껀토 가든 하우스의 리식스(Ri6) 두리안
베트남 청과협회의 당푹응우옌(Dang Phuc Nguyen) 사무총장은 올해 청과 수출의 돌파구가 된 이유는 중국과 다른 많은 국가들이 베트남 상품의 구매를 늘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022년 이들 나라들은 베트남과 일련의 의정서에 서명하여 청과 수출 활동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올해 베트남에는 새로운 수출 과일과 채소 제품과 소비 시장이 많이 생겼다. 특히 두리안은 재배 지역 코드가 더 많이 부여되어 수출에 더 집중했다. 특히 두리안과 과일과 채소 전반의 생산량과 품질이 올해 향상되어 생산량 안정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도로, 창고, 배송 야적장 등 물류 인프라를 새롭게 정비하고 건설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경쟁국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수출을지원하고 있다.
응우옌 씨에 따르면, 중국은 베트남산 신선한 코코넛이 공식적으로 수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만약 가까운 미래에 승인이 된다면, 이것은 또한 수십억 달러의 클럽에 가입할 수 있는 일련의 결실이 될 것이다. 최근, 미국은 또한 베트남의 신선한 코코넛(녹색 껍질을 벗긴 부분적으로 하얀 섬유질)의 수출을 다시 허용했다.
당국은 미국과 호주에는 패션프루트, 일본, 카지노 게임, 호주, 인도에 자몽을 그리고두리안은 인도, 냉동 감귤류, 코코넛, 두리안을 중국으로개방하기 위해 협상 중이다.
과일 수출업체들은 중국이 명절 시즌에 접어드는 연말에도 과일과 채소 소비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또한 보라색 별사과, 붉은색 잭푸르트 등 베트남에서 많은 새로운 과일의 구매를 늘리고 있다. 2023년 말까지 베트남의 과일 및 채소 수출은 55억달러에 쉽게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